전체 글140 Statement와 PreparedStatement의 차이점 일단 Statement와 PreparedStatement의 차이점을 알기 전에 prepared Statement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자. PreparedStatement란: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동일하거나 비슷한 데이터베이스 문을 높은 효율성으로 반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을 말할다. 그럼 PreparedStatement는 어떤식으로 동작할까? 1.준비(Prepare): 먼저 애플리케이션은 문의 틀을 만들고 이를 DBMS로 보낸다. 특정값은 지정하지 않은 채로 남겨진다 INSERT INTO products (name, age) VALUES (?, ?); 2.그 다음, DBMS는 문의 틀을 컴파일하며(최적화 및 변환) 아직 실행하지 않고 결과만 저장한다. 3.실행(Execut.. 2019. 10. 27. 캐시(cache) 캐시(cache캐쉬, 고속완충기, 고속완충기억기) 컴퓨터 과학에서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는 임시 장소를 가리킨다. 캐시는 캐시의 접근 시간에 비해 원래 데이터를 접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나 값을 다시 계산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한다.(캐시를 사용하는 이유) 캐시에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 놓으면 계산이나 접근 시간 없이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출처:https://ko.m.wikipedia.org/wiki/캐시 2019. 10. 27. 메모리 계층 구조 메모리 계층 구조(Memory hierarchy)란 메모리를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로 나누어 둠을 의미한다. 이때 필요란 대부분의 경우 CPU가 메모리에 더 빨리 접근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아래 사진과 같이. 레지스터와 캐시는 CPU 내부에 존재한다. 당연히 CPU는 아주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메모리는 CPU 외부에 존재한다. 레지스터와 캐시보다 더 느리게 접근 할 수 밖에 없다. 하드 디스크는 CPU가 직접 접근할 방법조차 없다. CPU가 하드 디스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하드 디스크의 데이터를 메모리로 이동시키고, 메모리에서 접근해야 한다. 아주 느린 접근 밖에 불가능하다. CPU는 작은 메모리에 더 빨리 접근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관점들로 CPU가 작은 메모리에 더 빨리 접근할 수 있는.. 2019. 10. 27. UNIX 기본 사용법 - 파일 시스템 응용 파일과 디렉토리 관리 1. 특정 디렉토리에 있는 디렉토리와 파일을 열거하고 추가 옵션으로 이들에 관한 여러가지 정보(크기,소유주,만든시간,변경시간,이름,접근권한 등)도 알 수 있다. 여기서 ls 명령어는 List의 약자이다.(윈도우 dir 명령과 기능이 유사) 1.입력 문법 및 예문 파일 유형 2.접근권한 UNIX 운영체제에서는 권한 부여의 대상을 세 종류로 구분한다. user:파일을 만든(생성) 소유주 group:파일을 만든 소유주가 속한 그룹의 소유자 other:기타 사용자 3.접근권한의 종류 ※ 유닉스/리눅스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으로 파일과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일반(정규) 파일의 경우 접근권한666(rw_rw_rw) 디렉토리 경우 777(rwx_rwx_rwx)로 디폴트 값으로 설정이 된다. why?.. 2019. 10. 23.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