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과 디렉토리 관리
1. 특정 디렉토리에 있는 디렉토리와 파일을 열거하고 추가 옵션으로 이들에 관한 여러가지 정보(크기,소유주,만든시간,변경시간,이름,접근권한 등)도 알 수 있다. 여기서 ls 명령어는 List의 약자이다.(윈도우 dir 명령과 기능이 유사)
1.입력 문법 및 예문
파일 유형
2.접근권한
UNIX 운영체제에서는 권한 부여의 대상을 세 종류로 구분한다.
user:파일을 만든(생성) 소유주
group:파일을 만든 소유주가 속한 그룹의 소유자
other:기타 사용자
3.접근권한의 종류
※ 유닉스/리눅스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으로 파일과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일반(정규)
파일의 경우 접근권한666(rw_rw_rw) 디렉토리 경우 777(rwx_rwx_rwx)로 디폴트 값으로 설정이 된다.
why?? 디렉토리 같은 경우 접근권한이 777인 이유는 디렉토리에 실행 권한(x)이 없으면 디렉토리 안으로 들어갈 수 없기 떄문!!
다만. umask로 지정한 값만큼 디폴트 값으로 뺄 수 있다
또한 소유주(user)는 해당 디렉토리/파일의 소유주를 의미 시스템 사용자 계정이 지정됨
소유주는 생성 후에도 변경이 가능 chown명령으로 소유주를 변경 할 수 있다.
'시스템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X 디렉토리 트리구조 (0) | 2019.10.23 |
---|
댓글